기사 (3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문화로 먹고 사는 부안 문화로 먹고 사는 부안 데스크칼럼 문화가 돈이 되는 시대가 열린 지 오래다.콘텐츠와 플랫폼의 디지털 문화가 자리 잡기 이전에도 문화는 경제의 첨병 역할을 했다.대표적인 것이 지역축제다.‘굴뚝 없는 공장’으로 불리는 축제는 민선시대가 열리면서 지역문화의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를 뛰어넘어 지역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예를 들어 함평 나비축제는 첫 개최 후 14년 동안 입장료 등 직접 수입이 약 350억 원, 농축산물 홍보 등 간접효과가 1530억 원에 이른다.파주 콩 축제도 하루에 30억 원의 수익을 올려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지역경제 데스크칼럼 | 신명수 편집국장 | 2020-08-12 13:18 박원순 전 시장과 부안 박원순 전 시장과 부안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부안의 인연은 깊다.그는 부안주민운동(방폐장 사태)이 일어난 2004년 2.14 주민투표에서 주민투표 관리위원장을 맡았고 2011년에는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자격으로 부안을 찾아 ‘커뮤니티 비즈니스(마을공동체 사업)’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필자가 한때 몸담았던 부안독립신문과의 인터뷰에서는 로컬푸드로 유명한 완주군보다 자산이 풍부한 부안의 모델이 더욱 희망적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구체적 방법론을 내놓아 눈길을 끌었다.사법고시 합격 후 검사로 임용됐지만 체질에 맞지 않는다며 변호사로 행보를 바꾼 것도 그의 인간적 됨 데스크칼럼 | 신명수 편집국장 | 2020-07-19 16:46 후반기 부안군의회에 거는 기대 후반기 부안군의회에 거는 기대 부안군의회가 후반기 의장단 구성을 마쳤다.전반기 부의장을 지낸 장은아 의원과 김연식 자치행정위원장이 의장과 부의장에 도전장을 던졌지만 예상대로 의장단 5명이 모두 바뀌었다.4년 임기의 의원들이 2년 주기로 자리를 옮기는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8대까지 오는 동안 3차례를 제외하곤 모두 정확한 비율로 교체됐기 때문이다.하지만 적지 않은 군민들은 이러한 의장단의 관행적 자리 이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일부에서는 5명의 의장단에게 특별히 제공되는 권한과 업무추진비를 이유로 든다.부안군의회는 자치행정위원회 데스크칼럼 | 신명수 편집국장 | 2020-07-03 20:35 처음처음1끝끝